사진이론 기본문제 예
1. [카메라: 구성및 활용]
카메라: 조리개(심도)
셔터(동감)
렌즈- 광각(원근감)
망원(압축감)
2. [사진의 표현방법]
2차원사진을 인간의 시각과 같은 3차원으로 표현
입체감: 명암법- 그림자
거리감: 원근법
속도감: 블러효과(동감효과)-> 저속셔터 활용.
1. 답
디지털카메라의 구조:
1). 이미지 센서
2). 필터 어레이
3). 적외선 필터(Low Pass Filter) - 모아레현상 방지.
2. 답
2차원사진을 인간의 시각과 같은 3차원으로 표현
입체감: 명암법- 그림자
거리감: 원근법
속도감: 블러효과(동감효과)
3.
[상반법칙]
조리개값과 셔터타임이 일정 비례값으로 역으로 같은 것을 상반법칙이라고 한다.
[노출상태가 F8에 1/125초로 측정 되었다면, 여기에서 F치(조리개)를 한단계 열면(F8->5.6) 타임을 한단계 빠르게 해야 하고(1/125->1/250),
반대로 조리개를 한단계 조이면(F8->11) 타임을 한 단계 느리게(1/125->1/60) 한다 ]
(노출심도차이등이 있음).
(조리개, F) 1.4 2 2.8 4 5.6 8 11 16
(타임) 15 30 60 125 250 500
(ISO) 50 100 200 400 800 1000 1600 2000
[상반칙불궤]:
노출시간이 1초보다 긴 경우
상반법칙이 적용되지 못하는 경우.
4. 심도를 얕게하기 위한 방법
가.조리개연다
나. 초점거리를 길게(망원렌즈)
다. 카메라와 피사체거리 가까이
5.
F4
6. 망원렌즈
7.가이드넘버: 광량 GN= 조리개수치*촬영가능거리
8. RED
9. 칼로타입
다게레오타입에 비해ㅡ선명하나 복제불가
10. 콜로디온 프로세스의 장점과 단점
장점: 선명, 복제가능
단점: 암실운반 불편
11. 가변렌즈: 줌 렌즈의 초점거리 변환시 조리개수치가 변하는 렌즈.
렌즈의 밝기: 초점거리/렌즈의 유효구경.
고정 조리개: 줌렌즈의 전 영역에서 최대개방 조리개값으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렌즈
가변 조리개: 줌렌즈의 영역에 따라 최대 조리개값이 변하는 렌즈
------------ ----------- ------------
참조:[초점거리]
상이 모이는 두번째 지점(제2주점)부터 센서까지의 거리입니다.
그림으로 보면...
빨간 두 선의 교점이 제2 주점.. 그 교점에서 왼쪽이 찍히는 범위입니다.
파란 것은 센서이고, 교점에서 센서까지의 거리.. 검은 선이 초점거리입니다.
위에 있는 두개를 비교해보시면..
왼쪽은 초점거리가 짧기 때문에 화각이 넓은 광각을 찍을 수 있고,
오른쪽은 초점거리가 길기 때문에 화각이 좁은 망원을 찍을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크롭바디나 풀프레임이나, 컴팩트마저도 동일한거구요.
크롭바디나 컴팩트처럼 센서가 작아지면(물론 컴팩트와 크롭바디는 센서 면적이 10배이상 차이납니다)
같은 렌즈, 같은 초점거리에서 찍었을 때,
풀프레임 대비 아래에 있는 두 개 처럼 렌즈가 받아들인 빛의 일부만 사용할 수 있게됩니다.
풀프레임에서 찍은 사진과 비교하면 가장자리는 잘라서 버리고,
중심부만 사용하는 것이 후보정을 통해 크롭..하는 것과 같다고해서 크롭바디라고 불리는거죠.
이 때문에 풀프레임과 같은 화각을 가지려면
캐논 크롭바디는 초점거리에 1.6을, 니콘-소니-펜탁스 등은 1.5를 곱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 -----
12.
가.광원이 클수록 빛은 부드럽다.
나. 광원이 가까울수록 부드럽다.
다. 바운스 될수록 빛은 부드럽다.
13.
보도사진: 객관성
다큐멘터리: 주관적 - 변화, 개혁을 유도.
14.알프레드 스티글리츠: 근대사진의 아버지 (현대사진의 아버지: 로버트 플랭크)
픽토리얼리즘(회화주의사진) , 살롱사진 => Straight -> (직설적인 사진)
-> F64 에드워드 윈스턴
1907 기관지 아마추어 사진협회, 카메라 잡지 편집
1905 291화랑 개업
1903 기관지 카메라 워크 창간
(사진의 흐름)
다게르 -> 알프레드 스티글리츠(근대사진의 아버지) -> 1885년이후 로버트 플랭크(현대사진의 아버지) ->코닥
15.
F22로 촬영
[참조]초점거리
[ 焦點距離, focal length ]
망원경의 초점거리는 대물렌즈의 중심 또는 주경의 반사면의 중심에서 초점면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만약 천체에서 대물렌즈 중심까지의 거리를 p, 대물렌즈의 중심에서 상까지의 거리를 q, 대물렌즈의 중심에서 초점까지의 거리인 초점거리를 f라 하면, 가 된다. 그런데 천체관측에서는 천체가 거의 무한대의 거리에 있기 때문에 (p≓
)
가 된다. 즉 f≓q이다.

볼록렌즈(위)와 오목렌즈(아래)에 맺히는 상
위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초점거리 [焦點距離, focal length] (지구과학사전, 2009.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