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공부]/[총정리]사진초기~근대(1950년)

사진의 역사(1)/ 사진의 탄생(1839년)

자연생각 2015. 10. 29. 22:54

 

 

 

 

 

15세기경 다빈치가 고안한 카메라의 원형이 "카메라 옵스큐라"이다.

카메라: 라틴어로 카메라는 "상자".

옵스큐라: "어둠"의 뜻.

 

 

 

 

 Camera  lucida:  물체의 상을 종이나 화판위에 비추어 주는 장치.

- 탈보트는  카메라 루시다를 통해서 알게된 기계영상의 원리로 자연을 그대로 묘사하려 노력.

 

 

니엡스: 8시간의 노출로 사진을 만듬(1826)  => 인류최초의 사진의 발명.

 

 

 

 

 

1839년 "탕플대로" - 30 여분의 촬영. - 정착이 완전한 양화사진

다게레오 타입:  다게르-> 사진 인정받음(최초): 1839년 8월 19일. => 사진발명의 날.

선명

복제불가

 

칼로타입:  폭스 탈보트 -> 다게레오타입보다 선명하지 못했지만 복제가능.

 

 

 

 

 

 

 

 

 

 

 

 

 

 

 

 

 

 

 

 

 

 

 

 

 

 

 

 

 

 

 

 

1. 헬리오 그래피: 가).니엡스(1826)         나). 유리판  다).양화  =>최초의 사진(8시간 촬영)

2. 다게레오 타입: 가).다게르(1839)         나). 은도금판 다) 양화 =>선명하나 복제불가.

3. 칼로타입(탈보타입): 가). 탈보트(1841) 나).종이     다).음화(네거)의 시초 => 불선명하나 복제가능.

4. 콜로디온 습판법:     가). 아처(1851)            나).유리판   다).음화-포지법 =>선명, 복제가능

5. 건판사진법;     가). 매덕스(1871)         나) 유리건판 다).습판사진법보다 감도가 떨어짐. 콜로디온 대신 질산은 사용. *제라틴건판

6. 고감도 건판(1878): 가).베네트(1878)     나) 제라틴 브로이드건판 

 

존 허셀: 직접 양화법,   Hypo발생.

한니발 굿윈: 현대적인 필름개발

Roll Film; 이스트 코닥(1888), 셀룰로이드 베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