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공부]/근,현대 사진가

근, 현대 사진작가 요약

자연생각 2015. 11. 28. 01:50

[알프레드 스티글리츠]

1.1902년 사진분리파를 결성하고 회화주의적 사진(pictorial photography)과의 결별.
2. 1903년 사진분리파의 기관지인 "카메라 워크"창간.
3. 1907년 "삼등선실"은 회화주의 사진에서 "스트레이트 사진"으로 변모하는 전환점.
 사실주의 사진에서 사진의 예술적표현은  "미의 추구가 아니라 진실의 표현".

4. 1920년대는 대상 그대로의 본질이 내면세계와 동일시보는 "Equivalent (등가)" 표현으로 "구름시리즈"의 작품.
5. 스트레이트 사진을 개척한 작가로 근대사진의 아버지라 불림.
6. 스트레이트 사진의 개척은 폴 스트랜드에 이어져 즉물사진으로 완성.

 

 



[로버트 카파]

1. 종군기자및 보도 사진작가로 5차례의 전쟁터에서 전쟁기록 남김.
2.스페인내전에서 병사의 죽음 사진을 촬영- 라이프를 통해 유럽에 널리 알려졌음.
3. 노르망디 상륙작전의 사진은 전재의 실상을 알렸음.
4. 1947년 브레송을 포함 5명의 사진가와 함께 "매그넘 포토스"라는 자유 사진가 그룹을 만들었다.-  보는 것 뿐만 아니라 보는 방법.
5. " If your picture arn`t good enough, you are not close enough."
6. 포토 저널리즘의 신화 탄생.
7.인도차이너 전장터에서 전사.


 


[로버트 프랭크]

1. 여행을 통해 일상의 모습을 기록하여 연작사진의 형식을 정립.
2. 1955`1956 구겐하임재단의 지원으로 :The american"발간.
  부자와 가난한 이들이 영출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노출.
 비미국인의 눈으로 2차대전후 부를 구가하는 미국의 이면을 촬영, 충격을 주었다.

3.결정적순간의 시대는 끝났다 -> 사진은 대상을 묘사하는 도구가 아니라, 작가의 생각을 메시지로 표현.
4. 파격적인 앵글과 내용은 형식파괴의 사진을 표현-> 50년대 이후 사진 주도.
5. 현대 사진의 아버지라 불린다.



 

[마이너 화이트]

1. 스티글리츠의 이쿼벌런트 표현으로 기계적인 기록성에 은유적인 상징체계 결합.
    또한 에드워드 웨스턴의 극물적인 조형성을 강조하여 자연의 신비성을 표현.

2. 사진전문잡지 "Aperture"발간(1952)
3. 인간 기록사진전(1955)
4. 빛과 어둠의을 이용, 신비세계를 표현.
5. 점,선,면의대조형사진을 주도.
6. 2차대전이후 물질 문명이 몰고 온 인간상실과 소외의 시대의 상황속에서
    우주적인 심령의 세계로 부터 찾으려 했다.
7. 등가성미학의 완성자: 대상을 극명하게,  느낌을 극단적으로.


 
[신디 셔먼]

1.1980년대 구성사진가로 "여성"과 "몸"이 그의 작품 주제.
2. 모더니즘과 가부장적 남성사회가 단지 아름다움으로 규정했던 여성의 신체를
   불쾌감을 주는 신체내부적 요소로 보여줌으로서
   변장뒤에 숨겨 진 진실을 드러내는 동시에 여성의 자아확립과 주체회복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목적.

3. 1980년대 메이킹포토 대표작가.
4. 페미니즘(여성운동)- 사회속에 비처진 이미지 전달.
5. 셀프 포토레이트로 활약(대중매체에 그려지는 여성의 모습으로 분장한 자신을 찍은 것)

6.작품
1975~1980  무제스틸사진(위장한 이미지들을 섹시한것으로 착각하는 남성 고발)
1983~1984  패션모델 패러디(추하고 피곤한 여성)
1985~1991  역겨운 사진들
1988~1990  역사 초상화(유럽 귀족 초상화를 평범한 여성으로)
1992  마네킹과 섹스사진.
1997  싦이찌든 할리우드의 이면. 


 

모더니즘: 정형

포스트 모더니즘: 비정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