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에스프레소(Espresso): 영어식 표기인 '익스프레스(express)'는 '빠르다'라는 의미
공기를 압축하여 뽑아낸 커피를 데미타세(Demitasse)잔에 마시는 이탈리안 정통 커피. |
|
| |
본문 |
아주 진한 이탈리아식 커피이다. 데미타세(demitasse)라는 조그만 잔에 담아서 마셔야 제맛을 느낄 수 있다. 공기를 압축하여 짧은 순간에 커피를 추출하기 때문에 카페인의 양이 적고, 커피의 순수한 맛을 느낄 수 있다. 에스프레소(Espresso)의 영어식 표기인 '익스프레스(express)'는 '빠르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보통 에스프레소 전용 기계로 커피를 추출한다. 이 기계는 1906년에 발명되었는데, 압력은 9기압 정도, 온도는 90℃ 전후에서 20초 안에 30㎖의 커피를 뽑아낸다. 드립식 기계를 이용할 때보다 원두를 3배 정도 곱게 갈아야 한다. 에스프레소의 맛을 결정하는 요소는 원두의 굵기와 양, 압력, 떨어지는 속도 등이다.
에스프레소 커피를 뽑으면 크레마(crema)라는 옅은 갈색의 크림층이 생긴다. 이는 커피 원두에 포함된 오일이 증기에 노출되어 표면 위로 떠오른 것으로서 커피 향을 담고 있다. 따라서 크레마의 정도로 에스프레소가 잘 추출되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마실 때는 향을 먼저 맡고 크레마를 맛본 다음 두 번에 나누어 마시거나 단번에 마시는 것이 좋다. 기호에 따라 레몬을 넣어 마시기도 한다.
아무 것도 넣지 않은 순수한 에스프레소를 카페 에스프레소라고 한다. 솔로는 에스프레소 1잔, 도피오는 2잔 분량을 말한다. 룽고는 에스프레소를 오래 뽑는 것을 말한다. 에스프레소 리스트레토는 가장 진하게 추출되는 순간에 뽑은 것을 말하는데, 카페 에스프레소보다 더 진하다. 에스프레소 레귤러나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는 에스프레소에 뜨거운 물을 부은 것인데, 레귤러가 아메리카노보다 조금 더 진하다.
|
|
리스트레토(Ristretto) 짧은 시간에 추출한 30㎖ 이하의 적은 양의 에스프레소 커피. 리스트레토는 '응축된', '압축된'이란 뜻으로 이탈리아 사람들은 작지만 훌륭하다는 뜻에서 '포코마 부오노(pocoma buono)'라 부른다.
|
|
|
룽고(Lungo) 리스트레토 2배 분량의 에스프레소 커피. 커피 분량은 리스트레토와 같고 물이 리스트레토보다 2배 정도 증가되어 추출되었으므로 묽은 리스트레토로 생각할 수 있다. |
|
|
도피오(Doppio) 리스트레토를 더블로 추출한 에스프레소 커피. 도피오(doppio)는 '두 배의'라는 뜻으로 흔히 더블 에스프레소(Double Espresso)라고 부르며 에스프레소 잔보다 2배 가까이 큰 잔에 서빙된다. |
|
|
|
2.카푸치노(Cappuccino)
|
요약 |
우유를 섞은 커피에 계핏가루를 뿌린 이탈리아식 커피. |
|
국적
| 이탈리아 |
구분
| 커피 |
주재료
| 커피, 우유 , 계피 | | |
본문 |
카푸치노는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에서 처음 만들어 먹기 시작하여 세계2차대전이 끝난 후 에스프레소 머신의 발달과 더불어 전세계로 퍼져나가기 시작하였다. 처음 카푸치노를 만들어 먹을 때에는 계핏가루나 초콜릿 가루를 뿌려먹지 않았으나 현재는 카푸치노 위에 기호에 따라 계핏가루나 초콜릿 가루를 뿌려 먹거나 레몬이나 오렌지의 껍질을 갈아서 얹기도 한다. 카푸치노라는 명칭은 이탈리아 프란체스코회에 카푸친 수도회 수도사들에 의해 유래되었다. 카푸친 수도회의 수사들은 청빈의 상징으로 모자가 달린 원피스 모양의 옷을 입는데, 진한 갈색의 거품 위에 우유거품을 얹은 모습이 카푸친 수도회 수도사들이 머리를 감추기 위해 쓴 모자와 닮았다고 하여 카푸치노라고 이름이 붙여졌다는 설이 있고, 카푸친 수도회 수도사들이 입던 옷의 색깔과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졌다는 설도 있다. 카푸치노는 독일어로 카푸치너(kapuziner)라고 하며, 토스카나 지방에서는 캅푸쵸(cappuccio)라고 한다. 만드는 방법은 먼저 에스프레소를 1컵 준비한다. 우유 3분의1 컵을 끓기 직전까지 데운 다음 거품기로 저어 거품을 만든다. 에스프레소와 우유를 섞고 그 위에 우유 거품을 얹는다. 거품 위에 계핏가루를 살짝 뿌린다. 계핏가루를 뿌리는 대신 에스프레소를 뽑을 때 계핏가루를 섞어서 커피를 추출하기도 한다. 또한 커피 위에 우유 거품 대신 휘프드크림(휘핑크림)을 올리기도 하며, 기호에 따라 시럽을 첨가하기도 한다. 계피 막대를 이용해 커피를 저으면 향이 더욱 좋다. 요즘에는 카푸치노의 거품을 거품기로 젓는 대신에 에스프레소 머신에 있는 스팀원드로 거품을 만들어 낸다.
|
|
카푸치노 스쿠로(Cappuccino Scuro) 풍부한 우유 거품을 즐길 수 있는 카푸치노. 우유 거품이 잘고 고울수록, 그리고 풍성하고 많을수록 좋다. 우유의 양이 적어 첫맛이 강하며, 짙은 카푸치노(Dark Cappuccino)라고 한다. |
|
|
카푸치노 치아로(Cappuccino Chiaro) 우유 거품의 부드러움을 강조한 카푸치노. 카푸치노 스쿠로보다 우유의 양이 많아 훨씬 더 부드럽고 고소한 맛을 느낄 수 있다. 가벼운 카푸치노(Light Cappuccino)라고 한다. |
|
|
모카치노(Mokaccino) 카푸치노에 초콜릿 시럽과 휘핑크림을 얹어 달콤한 맛을 강조한 메뉴. 카푸치노, 마로끼노와 더불어 시각적인 즐거움과 맛의 즐거움을 가져다주는 대표적인 메뉴이다. | |
|
|
3.아메리카노(아메리카의~, 미국의~): (에스프레소 희석커피)
(에스프레소를 묽게해달라는 미국인을 무시하는 이름으로 지어졌음)
에스프레소가 담긴 아메리카노의 매력?
[한경닷컴 bnt뉴스 생활팀] 최근 커피전문점을 찾는 사람들이 부쩍 늘고 있다. 조그마한 잔에 진한 에스프레소를 즐기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달콤한 케이크에 아메리카노를 곁들여 마시는 사람들도 종종 눈에 띈다. 아메리카노는 에스프레소에 물로서만 만들어지는 커피로서 각종 부재료가 들어가지 않아 커피 본연의 맛을 느낄 수 있는 매력을 가지고 있다.
아메리카노의 농도는 에스프레소의 '샷' 수와 물의 양에 따라 달라지며, 보통 에스프레소 샷 한개나 두개를 150~480ml 정도의 뜨거운 물과 섞는 것이 보통. 에스프레소에 뜨거운 물을 부으게 되면 에스프레소 추출시 나오는 거품인 크레마가 거의 없어지게 되지만 에스프레소의 짙은 향과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는 것에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에스프레소에 우유-시럽-초콜릿-캐러멜-계피가루 등 다양한 부재료가 들어간 각종 커피도 꾸준히 인기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본연의 커피맛을 잃지 않으며 질리지 않는 매력을 갖고 있는 아메리카노가 꾸준히 사람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최근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는 커피전문점들은 대부분 에스프레소를 바탕으로 다양한 커피를 만들며 사람들에게 달콤한 유혹을 하고 있다. 이처럼 대중들의 커피문화가 발전하는 만큼 다양한 커피를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에스프레소.
에스프레소란 다른 말로 카페 에스프레소(이탈리아어: caffè espresso)는 미세하게 분쇄한 커피 가루에 고압과 고온 하의 물을 가해 추출해내는 고농축 커피의 일종이다. 쉽게 말해서 커피 원두를 제일 얇게 갈아서 뜨거운 온도에서 압력으로 내리는 원액이라 할 수 있다.
모든 커피의 시초격인 에스프레소의 신선함 또한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카페이탈리코(cafeitalico.co.kr)'는 쉽게 산화되는 원두를 그라인딩과 탬핑과정을 없애 신선한 원두의 맛을 느낄 수 있는 캡슐커피를 만들었다.
커피전문점 이탈리코의 정진서 대표는 "이탈리코는 세계3대 원두커피 브랜드인 '펠리니'사의 원두를 사용해 Top cream, Classic, Long cap, Arabica, Deca 총5가지 종류의 캡슐커피를 판매하고 있다"라며 "진하고 신선한 에스프레소를 느끼려면 이탈리코 캡슐커피를 적극 추천한다"라고 말했다.
|
|
*** 4. 블랙커피와 아메리카노의 차이?
|
아메리카노는 에스프레소에따뜻한 물을 타서 만드는 것이고,
블랙 커피는 단순하게 인스턴트 커피를 설탕이나 프림 없이 탄 것에서부터 아메리카노나 드립 커피까지,
다른 첨가물을 넣지 않은 커피를 부르는 총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메리카노는 희삭시켰다고는 하나 기본이 에스프레소이므로 고온 고압에서 추출을 하여 고형성분이 많습니다.
따라서, 맛과 향의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