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3. 13. 23:36ㆍ나의 사진이야기(요점)
요약 1]
1. 노출:
가. 조리개
나. 셔터속도
다. ISO
2. 피사계심도
가. 조리개 구경
나. 초점거리(망원/광각)
다. 카메라와 피사체거리
[요약 2]
1. 팬 포커스(pan focus/ 피사계심도 깊게)방법
가. 조리개조임
나. 광각렌즈 사용
다. 카메라와 피사계거리는 멀리한다.
2. 아웃 포커스(out of focus):
(피사계심도 얕게)
가. 조리개 개방
나. 망원렌즈
다. 카메라와 피사체거리 가깝게
[테스트]
(위) 조리개 많이 열고
망원사용
카메라와 피사체 가까이
---> 심도 얕다
(위) 조리개 조이고
광각사용
---> 심도 깊어짐
[요약 3] 실습을 위한 집중
1. 조리개 구경을 열고 닫으면 ?
가).열면 (F수치가 작아지면 / f11 --> f4등으로)
--> 심도깊이가 얕아져 배경흐림.
나). 조리개닫을수록(F수치 커짐/f4 -->f11등으로)
--> 심도깊이가 깊어져, 즉 초점이 맺어지는 폭이 넓어져~ 배경이 선명하게 됨.
예) 먼곳을 볼때 사람의 눈도 좁아지며 먼곳이 잘보임.
2. 망원이냐 광각이냐?
가) 망원; 피사체가 당겨져 압축감이 있고 화각(배경)이 좁아짐. 주피사체가 당겨지기에 배경흐려짐.
나) 광각; 주피사체가 멀어지기에 배경이 넓어지고 원근감있음.
즉 화각은 넓어짐.
피사체들이 멀어지기에 배경이 망원보다 잘 보임.
망원
광각
--------------
[요약 4] 야외 촬영
1. 촬영전 check사항
(출발전)
가. 밧데리 충전및 준비
나. 메모리 카드
다. 렌즈선택
라. (필요시)삼각대준비
마. (필요시)Flash 준비
바. 촬영장소를 미리 그려본다
-- 테마를 구상(이미지)
2. 촬영현장에서
가. 촬영mode 선택
1) 정지상태 : A(조리개우선)
mode
2) 움직이는 상태: S or Tv mode
3) 순간장면(snap 사진):
P(program)mode
4) 역광,야경: M (manual)mode
나. 기타 필수확인:
1)White Balance(색온도): Auto
2) ISO(감도): 최소치(100~ 등)
3) 색공간: sRGB
♤빛이 일상보다 밝으면(A,S.P mode 에서) -->
노출보정(마이너스0.3~ 부터)
---------------
[요약 5 / 질문]
줌렌즈로
여러사람이 서있는 사진을 찍을때 순서를?
1) 카메라를 갖고 서있는 위치에 고정해 서서, 줌렌즈 링을 돌려가며 피사체와의 거리에 맞게 조정한 후 찍는다.
2) 줌렌즈 초점거리를 미리 설정한후 카메라를 들고 피사체와의 거리를 옮기면서 적정위치에서 찍는다.
- - - 이상 ㅣ,2 중 어느방법을 선택하겠습니까?
답은 댓글로~
-----------------------
[요약 6]
1. 사진공부를 하는 이유를 생각했다면!
그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나뉜다.
가.첫째, 카메라의 구조와 기능을 설계자의 입장에서 파악하는 Hardware 측면이고
나. 둘째, 보는 것이나 그리고 마치 그림처럼 마음속에 담고싶은 장면을 어떻게 영상으로 표현하느냐하는
즉 촬영방법인 Software 측면이 되겠다.
따라서 카메라조작방법(기능)을 익히면서 찍는(촬영)방법을 익힘이 중요하다.
- -> (예를 든다면,
세탁기의 경우는 기능만 익히면 되지만, 카메라의 경우는 조작법과 촬영법을 익혀야 한다는 의미.
따라서 조작법만 배워선 좋은 사진을 얻기 어려움).
2. 특히,
가. 사진은 많이 찍어야 하고
나. 가까이서 찍어야 하고
다. 가장 좋은 사진은 재미있는 사진이다.
3. Flash:
Gn (가이드넘버)= 조리개수치×조명거리
---------------------------
[요약7] 카메라 구입시 고려
[셔터는 어떤 장면의 순간도 멈추게 할 수 있다!]
1. 카메라 구입시 참고!
가. Body
1) Full size body와 Crop body
2) 렌즈교환의 호환성?
3) 기능조작
나. Lens
1) 광각, 표준, 망원렌즈
2) 렌즈밝기: 조리개수치 수치가 낮을수록(F5.6, F4,ㅏ다 F2.8, F1.8 - -등)밝고 비싸다.
3) 고정렌즈와 가변렌즈
4) Full size body용 렌즈냐 Crop body용 렌즈냐
5) 단렌즈(줌 렌즈와 구별)
6) 접사촬영
가) Close-up : 등배율(1.0×)
나) Macro : 초접사(1.0~20×)
다) Micro : 현미경사진
2. Filter 구입(상세내용; 별도)
1) UV Filter
2) ND Filter
3) CPL(Circular Polarizing Filter)
3. 삼각대 구입
1) 장노출에 필수
2) 흔들림방지
마. Flash 구입
1) 야간에 사용
2) 주간 역광에 사용
3. 기타
가) 하이엔드 카메라(줌 렌즈가 부착되어 있으나 렌즈교환 불가)
나) 미러리스(Mirrorless) 카메라 ---> Hybrid camera임.
------------------------------
[요약 8] 1/17일 복습및 실습
오늘 9명의 열공에 감탄!
1. 노출보정 실습
2. 어두운 지역등에서 셔터속도를 높이는 이유와 그 조작방법은?
3. 밴드 요약(1에서 요약7까지) 실습.
4. 사진을 보며 광각성과 압축성기법의 효과?
5. 풍경사진의 근경및 원경기법
6. 단체사진 촬영등에서 줌렌즈 사용방법? (초점거리 기준 활용)
7. 실제 촬영시 카메라 설정순서?
(촬영모드및 노출보정 여부)
8. 카메라구입 포인트
9. Full size body와 Crop body
10. 고정렌즈와 가변렌즈
11. 밝은 렌즈란?
'나의 사진이야기(요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의 요약(13강~16강) (0) | 2017.03.13 |
---|---|
강의 요약(9강~12강) (0) | 2017.03.13 |
사진강의(5강`8강) (0) | 2017.03.13 |
사진강의(1강`4강) (0) | 2017.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