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 컬러,조형

2015. 10. 27. 09:30좋은 사진 (요약)·진동선

- [좋은 사진을 위한 물리적 LCDF]

 

좋은 사진을 위한 빛(Light)

 

잘 찍은 사진이 반드시 좋은 사진은 아니다.

 

빛의 세가지:

1) 빛을 볼 줄 아는 능력

2) 빛을 느낄 줄 아는 능력

3) 빛을 표현 할 줄 아는 능력

 

 

 

 

진정한 빛은 어둠과 그림자를 볼 수 있게 한다.

빛은 시간에 대한 인식이다. - 존재의 덧없음과 사라짐까지 바라보게 하는 빛이 좋은 빛이다.

--- 세상의 빛과 그림자, 빛과 어둠, 빛과 시간,존재와 부재를 통한 생과 사의 질서, 위치, 조화, 관계, 균형을 바라볼 수 있게 한다.

 

 

 

 

 

 

 

 

 

 

 

 

 

좋은 사진을 위한 칼러(Color)

 

대중들의 칼러 인식: 촟 천연색(full color), 자연색(natural color), 살아있는 색(vivid color)

 

 

 

 

 

 

1) 컬러사진을 위한 색채의 개념

- 인간의 눈: RGB(빨강, 녹색, 파랑)

- 물감: RBY(빨강, 파랑, 노랑)

- 인쇄: CMY(사이안, 마젠다, 옐로우)

 

2) 사진 기술서의 색채 개념

첫째: 발색법 - 가색법과 감색법-> 컬러필름의 특성,유제구성, 감광도, 관용도를 통해서 컬러필름과 컬러인화지의 색 출현(발색)에

                                                유용한 정보 제공.

둘째: 색온도 - 대기와 필름의 관계,파장과 필름의 관계,광질과 광량의관계, 색보정 필터->광원과 필름사이의 광학적 정보.

셋째: 현상과 인화법

넷째: 컬러 밸런스 - 표준데이터 맟 특수데이터에 대한 인간의 시지각과 감각을 결부-> 실제에 가깝게, 보기 좋게, 최상의 미적상태로 이끌어 내는 색채 심리학을 제공.

 

=> 오늘날 필요한 색채개념은 포토샵의 이미지개념이나 디지털 데이터 혹은 스캐닌, 그리고 디지털CMS(color management system)이다.

 

 

 

색채학

첫째: 색채는 정신의 연장작용-사진에 온도나 무게 중심.

둘째: 깊이의 환영- 색채만으로 공간감, 거리감, 현실감을 제공. - 색은 감각이다.

셋째: 색채는 창조적 시럼이다- 색은 개인의 감각이고 인식이다.

 

 

 

 

컬러에 대한 철학적 인식

가) 색은 정신이고 마음. 즉 색은 영혼이어야 한다.

나) 색은 빛이다. 빛을 볼 수 있을때 색을 볼 수 ㅣㅆ다.

다) 색은 우주이다. 살아있는 색과 죽음의 색이 있고 매개하는 색이 있다.

라) 색은 삶이고 시간이다. 인간과 삶의 시간이 색을 만든다.

마)색은 궁합이다. 색은 만물의 질서와 조화와 관계의 어울림이다.- 색에서 향기가 나고 좋은 소리를 낸다-좋은 빛깔은 좋은 소리다.

사) 색은 언어이다. 색은 말을 하고 감정을 드러내는 색채언어이다.

 

칸딘스키: 색은 언어(색채 언어)

 

좋은 사진을 위한 조형(Design)

 

조형

 회화->"형의 구축"

사진- 존재한 현실을 재 구축하고 재 구성한다는 점에서 Design이라는 용어가 폭넓은 개념.

 

루돌프 아른하임- 예술 심리학

- 시지각(바라봄의 인식)

피사체 이면에 감춰진 어떤 질서를 심리적으로 파악- 이것들을 바라보고 제대로 표현하려는 것이 에술사진의 조형성이고 에술심리학의 목표.

 

Gestalt(게슈탈트)- 형태심리학으로서 시지각이론.

 

사진의 참된 리얼리티:

사실과 현실을 묘사한 시각적 리얼리티라기보다는

사물 그 자체를 바라보는 존재론적 리얼리티이다. -> 즉, 피사체 이면에 감춰진 어떤 질서를 심리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 이것들을 바라보고 제대로 표현하려는  것이 예술사진의 조형성이고 예술심리학의 목표이다.

 

1. 조형심리와 사진 표현

사진은 형상(형태)를 통해서 전달.- 사진가가 감상자오의 눈과 마음에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눈과 마음을 깨우는 심리적작용이다.

 

예술심리학에서는 이를 최적화하는 방법으로 다음 세 가지 시지각적 요소.

첫째: 시각적 조직화의 원리- 사진은 복잡한 형상,형태를 분석.

둘째: 깊이의 지각.

셋째: 색채의 기본적 성질

사진디자인 론: 단순,강조,정확

 

아이들-  본 대로 그리는 것이 아니라 알고 있는 바를 그린다.

2. 사진  디자인으로서 관념 조형

- 아는 만큼 보인다.

- 먼저 질서를 보는 눈이 중요.- 학습,경험,지식이 필요하다.

- 장비와 테크닉으로 구현되는 기술적 묘사만으로 되는 것도 아니다. 어느 정도 지나면

그런 기술보다는 학습과 경험과 지식을 기반으로 한 관념이 더 중요해진다.

 

사진을 찍기 위해 필요한 요건

자극(적 소재)- (시각적) 이해- (구조적) 파악- 그것이 무엇이라는 (형태 특성의) 전달

 

3. 장식적 조형

-장식을 추구하다 보면 어느 순간 조형의 질서를 바라보게 된다.

- 장식사진- 형식 사진-> 가시적인 질서의 총합이자 시각적 조형의 모든 것.

 

 

 

 

4. 추상적 조형

- 추상은 구상과 반대되는 조형 개념이다.

 

5. 에술적 조형

-예술적 조형은 관념적 조형의 완성이다. 즉 궁극적으로 사진 디자인의 최종판이다.

- 예술적 사진은 이미지 최적화의 양식이다.